한글 37

텔미

텔미 신현경 작가의 문자도가 특히 내게 반가운 것은 그 속에 있는 작품들이 누구보다도 눈에 익기 때문일 것이다. 그 문자들은 훈민정음 예의본, 해례본, 언해본부터 시작해 소악언해,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 고등학교를 거쳐 간 일반인이라면 걔 중에 하나쯤은 배워 보았을 작품이지만, 전공과 업으로 삼은 내게는 남보다 깊게 배웠고 관심 있게 보아왔기에 남다르지 않을 수가 없다. 신현경 작가의 그림을 보면서 한글 문자도의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문자 자체가 지닌 의미를 어떻게 조율해 감상해야 할지가 내겐 가장 궁금한 점이었다. 신현경 작가의 그림을 바라보면서 문자가 가진 의미를 어느 정도까지 부여해야 하는 것일까. 구양수나 안진경체의 한자에 익숙한 우리에게 전서체로 이루어진 작가의 ‘수복’ 문자도는 해석을 어렵..

문자도

'문자도는 삼강오륜의 교훈적이고 길상적인 뜻을 지닌 문자를 통해 소망하는 것을 이루고자 하는 의도에서 제작된 그림이다.' 라는 정의가 있다. 그러나 문자도의 정의에 맞추기 보다는 내안에서 이것을 소화해서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을 했다. 처음 시도 하는 부분이라 시일도 걸렸다. 완성한 작품을 남편에게 보여주었다. 예전에 자기 얼굴을 그려달라고 부탁 했던 남편에게 자기 이름을 좋은 것으로 꾸며주니 좋아하였고 이 모습을 보니 그 동안 고민했던 것들이 눈녹듯이 사라졌다. 문자도 52.5×20cm / 수채/신현경 각각의 글자를 보면 뜻은 다음과 같다. 신- 감국 : 국화의 한종류 은돈과 장수를 뜻한다. 용- 복숭아:십이장생중의 하나로서 장수를 뜻한다. 파도: 용들이 살고 있음을 의미한다. 거센 파도는 ..